변덕스러운 주식 시장을 보면
“언제 사야 할까?”
“지금이 혹시 최고점은 아닐까?” 하는 고민에
선뜻 투자하기 어려울 때가 많아요.
그런데 투자의 현인 벤저민 그레이엄이
그의 저서 “현명한 투자자”에서 언급한
투자 전략 중 하나가 바로 이런 고민을
덜어줄 수 있다고 해요.
이름하여 ‘정액분할투자법’입니다.
오늘은 이 정액분할투자법이 정말 우리를
부의 길로 안내할 수 있을지 그 핵심 원리와
현실적인 효과를 살펴보겠습니다.
아찔했던 닷컴 버블 붕괴 전후 2년간
실제 나스닥 기업들에 투자했을 때
어떤 결과가 펼쳐졌을지 아주 흥미진진하고
명확하게 비교하며 이야기해 드릴게요.
정액분할투자 도대체 뭐길래?
먼저 정액분할투자법이 무엇인지부터
확실히 알아야겠죠.
영어로는 ‘Dollar-Cost Averaging’이라고 불리는데
말 그대로 매월 또는 매분기처럼 정해진 시점에
정해진 금액만큼 꾸준히 특정 주식이나 펀드를
사들이는 투자 방식을 의미해요.
마치 우리가 매달 적금을 붓는 것과
아주 비슷하다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쉬울 거예요.
이 방법의 핵심은 주가가 오르든 내리든
시장 상황이 어떻든 간에 기계처럼 꾸준히
같은 금액을 투자하는 거예요.
이렇게 하면 어떤 마법 같은 효과가 일어날까요.
바로 주가가 낮을 때는 더 많은 주식을 사게 되고
주가가 높을 때는 더 적은 주식을 사게 되어
평균 매입 단가를 낮추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점이에요.
시장의 타이밍을 정확히 예측하는 것은
신의 영역이라고들 하잖아요.
정액분할투자법은 이런 어려운 예측 대신
꾸준함으로 시장의 변동성을 이겨내려는 전략인 셈이죠.
예를 들어 매달 10만 원씩
A라는 주식에 투자한다고 가정해 볼게요.
첫 달에 A 주식 가격이 1만 원이라면
10주를 살 수 있겠죠.
다음 달에 주가가 5천 원으로 떨어졌다면
같은 10만 원으로 20주를 살 수 있어요.
그다음 달에 주가가 2만 원으로 올랐다면
이번에는 5주밖에 못 사겠죠.
이런 식으로 꾸준히 투자하다 보면
주가가 낮을 때 더 많은 주식을 확보하게 됩니다.
장기적으로 봤을 때 평균 매입 단가가
낮아지는 효과를 볼 수 있답니다.
“현명한 투자자”에서도 이 방법을 통해 투자자는
만족스러운 가격으로 최대한의 주식을
보유할 수 있게 된다고 언급하고 있어요.
“현명한 투자자”는 정액분할투자를 어떻게 평가했을까?
벤저민 그레이엄은 정액분할투자법을
‘포뮬러 투자(formula investing)’의
한 형태로 소개했어요.
특히 잘못된 시기에 매수가 집중되는 가능성을
미연에 방지하는 방법으로 긍정적으로 평가했습니다.
그레이엄은 1949년 이후 이어진 강세장에서
이 방법이 만족스러운 투자 결과를
이끌었다고 언급하기도 했죠.
그는 루실 톰린슨이라는 연구자의
분석을 인용하기도 했습니다.
이 연구에 따르면 다우존스 지수를 구성하는 종목에
정액분HAL투자 방법을 적용했을 때
1929년부터 1952년까지 대부분의 10년 투자 기간에서
긍정적인 수익이 발생했습니다.
평균 수익률도 상당히 높았다고 해요.
심지어 시장 가치가 일시적으로 폭락하는 경우도 있었지만
결국에는 꾸준한 매수를 통해
좋은 성과를 낼 수 있었다는 거죠.
톰린슨은 “주가 변동에 상관없이
정액분할투자만큼 확실한 성공을 보장하는
포뮬러 투자 방법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고
결론 내렸다고 합니다.
그레이엄 자신도 주식을 체계적인 계획에 따라
일정하게 매입하는 방식은 심리적으로나
재정적인 측면에서 미국 저축채권이나
생명보험에 일정액을 지속해서 납입하는 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보았어요.
매월 투자하는 금액이 소액이라도
20년 이상이 지난 후에 투자자는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둘 수 있다고 언급했죠.
닷컴 버블 붕괴 격동의 2년! 나스닥 기업 정액분할투자
자 이제부터가 진짜 하이라이트예요.
우리는 시간을 거슬러 닷컴 버블이 최고조에 달했다가
꺼지기 시작한 격동의 2년
(2000년 1월부터 2002년 1월까지)으로
돌아가 볼 거예요.
당시 시장의 뜨거운 감자였던
실제 나스닥 기업들에 총 2,400만 원
(매월 100만 원씩 24개월)을 투자했을 때
정액분할투자와 일시 투자의 운명이 어떻게 갈렸는지
그 수익과 손실의 차이를 구체적인 (예시) 수치로
명확하게 비교해 드릴게요.
이야기 속 투자 조건
투자 대상: 닷컴 버블의 스타들!
아마존(AMZN) 시스코 시스템즈(CSCO)
마이크로소프트(MSFT) 입니다.
투자 기간: 2000년 1월 ~ 2002년 1월입니다.
(매월 초 투자 총 24회)
총 투자금: 각 기업당 2,400만 원입니다.
투자 방식 비교입니다.
정액분할투자는 매월 100만 원씩
각 기업 주식 매수 방식입니다.
일시 투자는 2000년 1월 초
각 기업 주식에 2,400만 원씩
한 번에 매수하는 방식입니다.
참고: 아래 주가 변동 및 계산 결과는
실제 과거 해당 기업들의 주가 패턴
(급등 후 폭락 또는 상대적 안정 등)을 바탕으로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한 예시 수치입니다.
눈물과 환희가 교차한 2년간의 투자 이야기
(1) 아마존 (AMZN): “천국에서 지옥으로, 그리고 한 줄기 희망”
그때 그 시절 아마존 주가 (예시)입니다.
2000년 1월 초 아마존 주가는
닷컴 버블의 열기 속에 주당 80달러에
육박했다고 해볼게요.
하지만 그해 말 버블이 붕괴하며
주가는 주당 10달러까지 폭락했습니다.
2001년 내내 10달러 근처에서 횡보하다
2002년 1월 초에는 주당 15달러로
마감했다고 이야기해 봅시다.
정액분할투자 (매월 100만 원씩
총 2,400만 원 투자) 결과입니다.
매입 과정: 처음 80달러일 때는
약 12.5주를 샀겠지만
(100만 원 / 80달러 환율 약 1,000원 가정 시)
주가가 10달러로 폭락했을 때는
무려 100주를 담을 수 있었어요.
평균 매입 단가 :
이렇게 24개월간 꾸준히 매수한 결과
평균 매입 단가는 대략 20달러 수준으로
낮아졌을 겁니다. (총 매입 주식 수 약 1,200주 가정)
최종 평가액 (2002년 1월 주가 15달러 기준):
약 1,200주 X 15달러 = 1,800만 원
(환율 1,000원 적용 시) 입니다.
수익/손실: 투자 원금 2,400만 원 대비
약 600만 원 손실입니다.
일시 투자 (2000년 1월 초
80달러에 2,400만 원 투입) 결과입니다.
매입 주식 수: 2,400만 원으로
80달러짜리 주식 300주 매입했습니다.
(평균 매입 단가 80달러)
최종 평가액 (2002년 1월 주가 15달러 기준):
300주 X 15달러 = 450만 원입니다.
수익/손실: 투자 원금 2,400만 원 대비
무려 1,950만 원 손실입니다.
결론적 비교: 아마존의 경우 정액분할투자는
2000년 초 고점에 일시 투자한 것보다
손실을 약 1,350만 원이나 줄이는
엄청난 방어력을 보여줬습니다.
평균 매입 단가가 훨씬 낮았기에
이후 주가가 반등했을 때 훨씬 빠르게
원금 회복은 물론 수익 전환의 기회를
잡을 수 있었겠죠.
(2) 시스코 시스템즈 (CSCO): “인터넷 제왕의 추락, 더딘 회복”
그때 그 시절 시스코 주가 (예시)입니다.
2000년 1월 초 시스코 주가는
주당 70달러로 닷컴 시대의 정점을
달리고 있었다고 해볼게요.
하지만 버블 붕괴 후 1년 만에
주가는 주당 15달러까지 급락했습니다.
이후에도 큰 반등 없이 2002년 1월 초에는
주당 18달러로 마감했다고 가정해 봅시다.
정액분할투자 (매월 100만 원씩
총 2,400만 원 투자) 결과입니다.
평균 매입 단가 (예시): 주가 하락기에
더 많은 주식을 매입하여 2년 후
평균 매입 단가는 대략 25달러 수준으로
형성되었을 겁니다. (총 매입 주식 수 약 960주 가정)
최종 평가액 (2002년 1월 주가 18달러 기준):
약 960주 X 18달러 = 약 1,728만 원입니다.
수익/손실: 투자 원금 2,400만 원 대비
약 672만 원 손실입니다.
일시 투자 (2000년 1월 초
70달러에 2,400만 원 투입) 결과입니다.
매입 주식 수: 2,400만 원으로
70달러짜리 주식 약 342주 매입했습니다.
(평균 매입 단가 70달러)
최종 평가액 (2002년 1월 주가 18달러 기준):
약 342주 X 18달러 = 약 615만 원입니다.
수익/손실: 투자 원금 2,400만 원 대비
약 1,785만 원 손실입니다.
결론적 비교: 시스코의 경우에도 정액분할투자는
2000년 초 고점 일시 투자 대비
손실을 약 1,113만 원이나 줄여주는
효과를 보였습니다.
비록 2년이라는 기간 동안에는
손실을 면치 못했지만 훨씬 낮은 평균 단가와
더 많은 주식 수를 확보함으로써
장기적인 관점에서 회복 가능성을 높였습니다.
(3) 마이크로소프트 (MSFT): “IT 공룡의 방어력, 그러나 고점은 피할 수 없었다”
그때 그 시절 마이크로소프트 주가 (예시)입니다.
2000년 1월 초 마이크로소프트 주가는
주당 50달러였다고 가정해 볼게요.
닷컴 버블 붕괴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덜 받았지만
그래도 1년 후 주가는 주당 30달러까지 하락했습니다.
이후 점진적으로 회복하여 2002년 1월 초에는
주당 40달러로 마감했다고 이야기해 봅시다.
정액분할투자 (매월 100만 원씩
총 2,400만 원 투자) 결과입니다.
평균 매입 단가 (예시): 24개월간 꾸준히 매수한 결과
평균 매입 단가는 대략 38달러 수준으로
형성되었을 겁니다. (총 매입 주식 수 약 631주 가정)
최종 평가액 (2002년 1월 주가 40달러 기준):
약 631주 X 40달러 = 약 2,524만 원입니다.
수익/손실: 투자 원금 2,400만 원 대비
약 124만 원 수익입니다.
일시 투자 (2000년 1월 초
50달러에 2,400만 원 투입) 결과입니다.
매입 주식 수: 2,400만 원으로
50달러짜리 주식 480주 매입했습니다.
(평균 매입 단가 50달러)
최종 평가액 (2002년 1월 주가 40달러 기준):
480주 X 40달러 = 1,920만 원입니다.
수익/손실: 투자 원금 2,400만 원 대비
480만 원 손실입니다.
결론적 비교: 마이크로소프트와 같이
상대적으로 변동성이 적었던 우량주의 경우
정액분할투자는 일시 고점 투자의 손실을 피하고
오히려 수익을 창출하는 결과를 보여줬습니다.
정액분할투자가 약 604만 원 더 나은 성과를
보인 셈이죠.
2년간의 투자 이야기가 우리에게 주는 교훈
이처럼 실제 과거 주가 흐름을 바탕으로 한 이야기를 통해
우리는 정액분할투자가 시장이 폭락하거나
변동성이 클 때 평균 매입 단가를 낮춰
손실 위험을 크게 줄여준다는 것을 알 수 있어요.
특히 “언제 사야 할까?”라는 고민 없이
기계적으로 투자함으로써 시장의 광기에 휩쓸려
최고점에 모든 자산을 쏟아붓는
치명적인 실수를 피하게 해 주죠.
또한 주가가 하락할 때 오히려 더 많은 주식을
싸게 살 수 있다는 점은 투자자에게
심리적인 안정감을 줍니다.
장기적으로 시장이 회복했을 때
더 큰 수익을 얻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답니다.
정액분할투자, 정말 ‘묻어두고 부자 되기’의 정답일까?
그렇다면 정액분할투자법은 정말 아무 걱정 없이
돈을 묻어두기만 하면 저절로 부자가 되는
마법의 열쇠일까요.
물론 세상에 그렇게 쉬운 일만 있다면 얼마나 좋겠어요.
정액분HAL투자법에도 분명 한계점과
우리가 고려해야 할 부분이 있답니다.
1. ‘무엇을’ 사느냐가 여전히 중요해요!
정액분할투자는 ‘어떻게’ 투자할 것인가에 대한
방법론이지 ‘무엇을’ 살 것인가에 대한
해답을 주지는 않아요.
아무리 꾸준히 분할 매수를 한다고 해도
가치가 하락하는 기업이나 전망이 어두운 산업에 투자한다면
좋은 결과를 기대하기 어렵겠죠.
마치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와 같을 수 있어요.
따라서 정액분할투자를 시작하기 전
어떤 주식이나 펀드에 장기적으로 투자할 것인지에 대한
신중한 분석과 선택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해요.
그레이엄 역시 “현명한 투자자”에서
방어적인 투자자는 우량주를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해야 한다고 강조했죠.
2. 하락장에서는 인내심이 필요해요!
주가가 계속 하락하는 시장에서는
정액분할투자자도 심리적으로 위축될 수밖에 없어요.
매달 돈을 넣는데 계좌의 잔고는 계속 줄어든다면
누구라도 불안해지겠죠.
“이러다 다 날리는 거 아니야?” 하는 공포감에
투자를 중단하고 싶은 유혹도 강하게 들 수 있어요.
하지만 정액분할투자의 진정한 힘은
바로 이런 하락장에서 더 많은 주식을
싼값에 사 모으는 데서 나와요.
따라서 시장이 어려울수록 더욱더 원칙을 지키며
꾸준히 투자하는 인내심이 필요하답니다.
그레이엄도 투자자에게 최악의 적은
투자자 자신인 경우가 많다고 경고했죠.
3. 시간이라는 마법을 믿어야 해요!
정액분할투자는 단기간에 큰 수익을
안겨주는 전략은 아니에요.
오히려 시간의 마법을 통해 복리 효과를 극대화하고
시장의 단기적인 변동성을 장기적인
평균 매입 단가 하락 효과로 바꾸는 전략이죠.
따라서 최소 5년 길게는 10년 20년 이상
장기적인 안목으로 투자해야
그 효과를 제대로 볼 수 있어요.
젊은 투자자라면 더더욱 이 시간이라는
강력한 무기를 활용해야겠죠.
4. 만능은 아니에요!
시장 상황에 따라서는 정액분할투자보다
한 번에 목돈을 투자하는 거치식 투자가
더 높은 수익을 낼 수도 있어요.
예를 들어 시장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대세 상승장 초기에는 한 번에 많은 주식을
사두는 것이 유리할 수 있죠.
하지만 앞서 말했듯이 시장의 타이밍을
정확히 예측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까워요.
따라서 일반적인 투자자에게는
시장 예측의 부담을 덜고 꾸준히 자산을 쌓아갈 수 있는
정액분할투자가 훨씬 현실적이고
안정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답니다.
그래서, 정액분할투자는 효과가 있다는 걸까요?
결론적으로 말하면 정액분할투자법은
분명 효과적인 투자 전략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어요.
특히 다음과 같은 분들에게는
더욱 매력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답니다.
투자 타이밍을 잡는 데
어려움을 느끼는 투자자입니다.
언제 사고 팔아야 할지 고민하는 대신
꾸준히 기계적으로 투자함으로써
시장 타이밍 예측의 함정에서 벗어날 수 있어요.
소액으로 꾸준히 투자하고 싶은
사회 초년생이나 젊은 투자자입니다.
매달 일정 금액을 적립식으로 투자함으로써
부담 없이 목돈을 만들어갈 수 있어요.
장기적인 관점에서 안정적으로
자산을 증식시키고 싶은 투자자입니다.
단기적인 시장 등락에 일희일비하지 않고
긴 호흡으로 투자함으로써 복리 효과를 누릴 수 있어요.
감정적인 판단보다는 원칙에 따른
투자를 선호하는 투자자입니다.
시장 분위기에 휩쓸리지 않고 정해진 원칙대로 투자함으로써
심리적 안정감을 얻을 수 있어요.
물론 정액분할투자법이 모든 투자 문제를
해결해 주는 만병통치약은 아니에요.
하지만 벤저민 그레이엄이 강조했듯이
투자의 기본 원칙을 지키고
시장의 변동성을 위험이 아닌 기회로 활용하며
꾸준히 인내심을 갖고 투자한다면
정액분할투자법은 분명 여러분의 자산 형성에
든든한 디딤돌이 되어줄 수 있을 거예요.
© 이콘아크 (EconArk) All rights reserved
이콘아크의 모든 정보는 현명한 판단을 돕기 위한 참고 자료입니다.
저희 글을 참고하여 내린 투자 결정과 그 결과에 대한 최종적인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귀속됩니다.
All information on EconArk is a reference to aid your informed judgment.
The final responsibility for any investment decisions made by referencing our content, and for their outcomes, rests solely with the investor.